이때는 한번 잠이 들면 5섯시간 이상을 깨지 않고 자는,아기 통잠 시기가 찾아오며 점차 부모님과도 일반적인 생활패턴이 맞아 떨어지게 되는데요. 낮에 수유를 하고 난 뒤 아기가 깨지않고 오랫동안 통잠을 자준다면 그 사이에 엄마는 커피한잔 마시면서 휴식도 취하고 밀린 집안일도 할수 있기 때문에 통잠의 기적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이러한 아기 통잠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신생아 때부터 엄마와 아빠 혹은 주 양육자가 적절한 수면교육을 해줘야 합니다.아기도 편안하고 엄마 아빠 집안의 모든 식구가 행복해지고 사람다운 생활을 할수 있는 아기 통잠 성공하는 수면 교육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엄마 아빠들이 많으 실텐데요.그래서 오늘은 아기 통잠의 모든것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보통 생후 3개월 이전의 신생아는 낮잠은 30분을 채 자지 못하고 깨는 경우도 흔할뿐더러,밤에도 2시간 이상을 내리 자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는 낯선 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생존본능만 있는 신생아들에겐 당연한 현상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아기가 밤이나 낮이나 깨서 운다고 해서 모유수유 하는 어머님들은 계속 젖을 물릴수는 없는 노릇인데요.저도 아기가 울때마다 계속 젖을 물리니까 정말 힘들고 젖몸살도 오더라구요.새벽에도 잠을 잘 못자고 비몽사몽으로 젖을 물리다 보니까 진짜 이게 사람사는 일인가 할정도로 몸과 마음이 힘들었습니다.저희 남편도 육아를 교대로 하고 또 출근하고 피곤에 쩔어 회사에서 일하고 다시 집에와서 쉬지도 못하고 새벽에는 뜬눈으로 밤을 지샜어요.
신생아 통잠시기
신생아 통잠시기는 언제가 가장 좋을까요?
신생아 통잠시기는 대략 생후 6~8주는 돼야 하는데요.
아기마다 발달 정도가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6주부터 수면 습관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뱃구레를 늘려 한 번에 먹는 양을 늘려 4시간 간격으로 수유를 할 즈음이면 수면교육을 시작하기에 적당한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수면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불안한 아기는 잠을 푹 잘수 없습니다. 규칙적인 일상을 유지해야 아기도 생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지고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밤잠을 잘 자기 위해서는 먼저 수면 루틴(Routine-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수면 루틴을 일정한 순서대로 매일 같은 시간에 반복하면 아이는 그 다음 스케쥴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불안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잠투정도 줄어들게 되고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잠들 수 있습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 이야기는 들어보신 적 있으시지요? 밥을 줄 때, 매번 종을 쳤더니 나중에 종소리만 듣고도 개가 침을 흘렸다는 유명한 실험입니다. 이것을 ‘조건반사’라고 합니다. 수면 루틴도 이와 비슷하게 잠자리에 들기 전에 ①목욕을 하고 ②동화책을 읽어준 뒤(아기가 어리다면 자장가도 좋습니다) ③잠자리에 눕히고 토닥여서 재우기를 매일 반복하다보면 나중에는 목욕을 하면 책을 읽자고 하고, 그러고선 습관처럼 자리에 누워 잠이 들 것입니다.
이가 나기 시작하면 끊어야 합니다.
밤중 수유를 끊지 못하는 엄마들을 보면 보통 아이가 달라고 하는데 굶기고 울리는 것을 하지 못하는 마음 약한 엄마가 많습니다. 하지만 6개월이 넘어가면 아기들도 이가 나기 시작합니다. 이때까지도 밤중 수유를 끊지 못하게 되면 충치나 치아우식증(입 안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산(acid)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돼 충치가 생기는 것/출처: 네이버 지식백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가 나기 시작했다면 단단히 마음을 먹고 끊으셔야 합니다. 아기가 배고파한다고 걱정하지 마세요. 밤에 먹던 것을 낮에 조금씩 더 먹이시면 됩니다. 마음이 여려서 사랑하는 아기를 울리지 못하다가 치과에서 충치치료를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으니 좋은 엄마가 되려면 마음이 강해져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글 참고 및 출처 베이비 뉴스